C/C++ 정리

3부 천리길도 한걸음 부터 부제- 메인 함수 설명

xcode1st 2010. 6. 10. 22:34



요기 부터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.
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
#기호는 프로그램에서 정의한 기호이다. 일단 그런가부다 하고 넘어가자
#include 는 예약어다. stdio.h 라는 파일을 포함하라는 것이다. 
파일이름 앞뒤로 꺽쇠를 붙인다. 도구에서 제공되는 특정한 함수등을 
사용하려면 확장자가 '.h' 인 헤더 파일을 각각 포함(include)해 줘야 한다. 

예를 들어 수학관련된 sin, cos 등의 함수를 사용하려면 math.h 파일을
 include 해야한다. 

잘 모르겠으면 프로그램 짤 때 맨위의 include 두줄을 무조건 넣어 준다고 생각하면된다. 

자 이제 두줄 설명했다. 휴~~~

int main( )
{


이제 main 함수 차례이다. 

main 함수라는 것은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끝나는 곳이다. 
놀이 공원의 귀신의 집에 다들 들어가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. 
들어가는 입구는 단 한군데 밖에 없다. 이 입구라고 보면된다.

main함수라고 표현하였다. 함수라는 말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.
f(x) = 3x+4y+7
뭐 수학에서 쓰이는 이런것도 함수이다. 즉 하나의 동작이나 쓰임새등을 위해
일정한 코드들을 모아놓은 것이다.
main 함수의 목적은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끝내는 함수이다.
(끝나는 부분은 솔직히 꼭 main 안에서 일어난다는 보장은 없다. ^^)

함수의 오른족에 괄호'()' 를 열고 닫아준다. 이것은 함수임을 표시하는 기호이다.
그리고 그 괄호 사이에 인자라고 하는 것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.
일단 무시하자, main에 있는 것은 그냥 똑같이 쓰자. 나중에 한번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.

함수의 시작은 중괄호 '{' 로 시작하고 중괄호 '}'로 끝난다. 
이 중괄호 사이에 함수의 각종 내용이 들어간다. 안에 들어가는 내용은 아래에 
이어서 간단하게 살펴보자.

    printf ("this is first program");
    return 0;

두줄이 main() 함수 안에 있다. 
printf 라는 놈을 보니 오른족에 괄호가 있고 그 사이에 따옴표가 있다.
그렇다 printf 라는 것도 함수다. 왜냐고? 함수 오른쪽에 괄호가 있으니까....
printf라는 함수는 컴파일러에서 제공하는 미리 만들어진 함수이다.
화면에 따옴표 사이에 있는 글자들을 표시하는 함수이다.

즉 this is first program 글자를 화면에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.
일단 요기까지만 알아두자 . 

printf 줄의 맨끝에 보면 세미콜론 ';' 이 있다. 이 세미콜론은 글을 쓸 경우에 
한 문장이 끝났을 때 마침표를 찍듯이 하나의 함수나 명령문 등의 제일 뒤에 
붙이는것이라 생각하면 된다. 

다음 return 0; 라는 것이 있다. return 은 예약어 이며 함수를 종료하고
나가겠다는 의미이다. 프로그램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데 이 return 문을
만나면 그 아래에 백만줄의 명령어가 있어도 현재의 함수를 종료하고 
빠져 나간다고 보면 된다. 역시 줄의 맨 마지막엔 ';' 세미콜론이 있다.

자 이제 처음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설명을 마쳤다.